|
 |
|
 |
|
간질은 발작이 뇌의 이상으로 반복해서 나타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'전간'과 같은 의미의 말입니다. 여기서 발작은 뇌 신경세포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활동으로 인해 이상 흥분이 나타나는 증상을 말합니다. 간질도 당뇨나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 같이 관리만 잘해주면 일상생활에큰 지장이 없습니다.
|
 |
원인 |
|
당뇨병 발병율과 비슷해서 전인구의 약 0.5-2%가 간질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. 매년 약 3만명의 새로운 간질 환자가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일반인이 평생동안 한번 이상 발작을 경험할 확률은 10% 정도라고 합니다. 간질은 두부외상, 뇌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흔한 신경계 질환으로, 수치스럽거나 숨길 병도 유전 되는 병은 아닙니다. 간질은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. 간질의 원인은 무수히 많으며 정확한 원인이 무엇인지 밝혀 지지는 않습니다. 연령에 따라 다양한 원인을 살펴봅니다.
|
 |
영 아 기 |
|
출산시의 두부외상이나 산소 부족에 의한 뇌손상, 뇌염이나 뇌막염, 선천성기형, 주산기 뇌손상, 선천성 기형, 저칼슘증, 저혈당증, 대사성 질환 |
 |
유 아 기 |
|
열성 경련, 출산시 뇌손상, 감염 뇌염 및 뇌성마비 |
 |
학 동 기 |
|
원인이 없는 경우(특발성), 출산시 뇌손상, 외상, 감염 |
 |
청장년기 |
|
외상, 종양, 특발성, 뇌졸증, 알콜중독, 감염 |
 |
노 년 기 |
|
뇌졸중, 뇌 외상, 종양 |
|
|
|
 |
|
 |
 |
|
 |
|
 |
간질 발작의 종류 |
|
간질 발작의 종류는 아주 다양합니다. 하지만 크게 부분 발작과 전신성 발작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.
|
 |
간질 발작의 종류 |
|
 |
전신 발작 |
|
대뇌 전체에서 동시에 발작이 시작되며 처음부터 의식소실과 함께 전신적 발작을 일으키는 것입니다. 전신 발작의 종류는 강직-간대 발작 또는 대발작, 소발작, 근간대성 간질, 실조성 간질등이 있으며 발작의 양상이 각각 다릅니다.
|
 |
부분 발작 |
|
발작을 시작하는 전조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. 부분 발작은 의식의 혼탁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크게 복합 부분 발작과 단순 부분 발작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.
|
 |
간질을 치료할 때는 간질 발작의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, 치료 시에는 더 세분화된 분류를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이 중 복합 부분 발작이 전체 간질의 2/3를 차지합니다. |
|
|
|
 |
|
 |
 |
|
 |
|
 |
치료법 |
|
간질의 형태를 정확하게 진단한 후 약물 치료를 합니다. 만약 간질을 일으키는 원인을 발견하면 원인을 없애 줍니다.
|
 |
약물 치료 |
|
항경련제를 복용합니다. 항경련제의 종류는 굉장히 많아서 간질의 유형과, 나이,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약물로 치료를 합니다. 대부분의 간질의 경우 보통 약물 치료에 잘 반응하여 한가지의 약물로 잘 조절되는 경우가 많고 약을 병용하여 쓰기도 합니다. 하지만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간질도 있습니다. 약물로 조절이 잘 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큰 무리가 없습니다.
|
 |
수술 치료 |
|
간질이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환자 중 발작이 계속되어 일상생활, 사회생활에 큰 위험이 있는 경우 수술적 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면 수술치료를 합니다. 뇌혈관 기형등 뇌속의 기질적 이상을 확인할 수 있거나, 세밀한 검사를 통하여 발작을 일으키는 뇌의 부위를 알아낼 수 있다면 수술 치료를 고려합니다.
|
|
|
|
 |
|
 |
|
|